1. Dignostic test
2. Pituitary Gland Disorder
3. Adrenal Gland Disorders
4. Thyroid Gland Disorders
5. Parathyroid Gland Disorder
6. Disorders of the Pancreas
7. Acute Cx. of DM
8. Chronic Cx. of DM
1. Dignostic test
▫ Radioactive iodine uptake (RAIU)
: iodine 은 갑상선에 저장되어 갑상선호르몬 생성기질로 이용됨. so 갑상선 내 요오드 방사능치는 갑상선 기능 상태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자료 !
- 사전 NPO 필요
- CT scan, X-ray 는 결과를 변화시킬 수 있으니 검사 전에는 금지
- Thyroid med 는 검사 5~7일 부터 hold
- 임산부는 금기 !!! 검사 전 pregnancy test 꼭 해야함
- 검사 전 2~4hrs NPO, remove dentures and jewlery, metals
▫ HgBA1C
: 4-6% (DM 환자의 경우 7%미만이면 양호하다고 봄)
2. Pituitary Gland Disorder
* Pituitary Gland Disorders *
- Anterior : ACTH, FSH&LH, GH, TSH -> Hypo/Hyper-pituitarism
- Posterior : Oxytocin, ADH -> DI/SIADH
[Anterior]
1) Hypopituitarism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 사 정
- 주로 GH, LH 분비 ↓ , 비만, 피곤, 불임, BP↓
▫ 중 재
- H replacement
2) Hyperpituitarism (Acromegaly)
▫ 사 정
- GH ↑ , 큰 손발, 두꺼운 턱, 관절 통증, visual, disturbance, diaphoresis, oily and rough skin, HF(S3,S4 sound)
▫ 중 재
- 약물, 방사선, hypophysectomy
※ Hypophysectomy
: craniotomy 나 sublabial TSA 를 통해 제거
▫ 수 술 후 간 호
- IIOP 예방 : 30도 거상, 교육(재채기, 기침, 코풀기 금지)
- U/O 확인(DI)
- TSA 후 nasal drainage가 있는 경우 glucose 체크, (+) 일 경우 CSF 일 가능성 O
[Posterior]

3) DI (Diabetes Insipidus)
: ADH 분비 부족 or 신장 이상으로 비정상적으로 다량의 오줌
▫ 사 정
- 다뇨, 다갈, 탈수
- USG ↓
- Headache*
▫ 중 재
- water intoxication 증상 나타나면 바로 noti -> HA, mental status change, muscle weakness
- med : Vasopressin, Desmopressin (ADH와 같은 역할)
4) SIADH (Syndrome of inappropriate ADH secretion)
: ADH 과도한 분비
▫ 원 인
- CNS disruption (stroke, infection, trauma, neurosurgery)
- Malignancies (small cell lung carcinoma)
- Drugs (desmopressin, carbamazepine)
▫ 사 정
- 체중증가, 부종, 고혈압, hyponatremia, 빈맥, HA*, N/V
▫ 중 재
- seizure 대비
- ICP증가 증상 모니터, 최대 10도까지만 거상 (정맥귀환율을 높이기 위해)
- normal saline 이나 hypertonic saline
- loop diuretics 고려 , vasopressin antagonist
-> furosemide 사용할 때는 최소 Na가 125 이상이어야함
3. Adrenal Gland Disorders

*Adrenal Gland Disorders*
- Cortex -> ★ Addison's (adrenal cortex H↓) / Cushing dz (glucocorticoids ↑)
- Medulla -> Pheochromocytoma
★ adrenal cortex hormone
▫ glucocorticoid (Cortisol)
▫ mineralocorticoid (aldosterone)
▫ adrenal andrgens
=> 단백질 합성↓, 혈당↑, 면역반응 억제, fat mobilization증가, Na재흡수 & K 제거 & Ca 제거, 2차 성징관여, 위산분비 촉진
+ 혈중 K가 높은 경우 GI stress 유발
|
1) Addison's dz (cortisol 적게 분비)
|
2) Cushing's dz (cortisol 과다 분비)
|
개 요
|
- primary 경의 평생 스테로이드 투여 필요
- secondary는 hyposecretion of ACTH가 원인 |
- moon face, buffalo hump, hirsutism(다모증)
- 몸통 비만, 사지 마름, wt.loss - |
사 정
|
4S↓ : Strss 저항, Steroid, Salt, Sugar
=> 저혈당, 저혈압성 쇼크, K⇧, - muscle weakness, hypotension, wt loss, hyperpigmented skin - 혈당, Na, K ⇩ / Ca ⇧ |
- moon face, buffalo hump, hairsutism(다모증)
- 몸통 비만, 사지 마름, wt.loss - 당, Na ⇧ / K, Ca ⇩ / HTN |
중 재 / 교 육
|
- 스테로이드 복용방법
- steroid masks the signs and sx of an infection - 과도한 운동과 스트레스 주의 - 스테로이드 복용 시 칼슘과 Vit.D 보충 - 고단백, 고칼로리 식이 |
- monitor BP, Wt, I/O
- 탄수화물&Na⇩ , 단백질&K ⇧ 식이교육 |
3) Addisonian crisis
- A life-threantening disorder
▫ 사 정
- Na, BP, Glucose ⇩ / K ⇧
- severe HA & leg, low back pain, weakness, confusion
▫ 중 재
- med : Glucocoticoids IV
- crsis 종료 뒤, oral steroid로 변경
- 조용한 환경 유지, 방문객 제한
4) Pheochromocytoma (갈색세포종)
: epi, norepi 과다분비
=> Cx : HTN crisis
4. Thyroid Gland Disorders
|
1) Hypothyroidism
|
2) Hyperthyroidism
|
사 정
|
- 대사 ⇩
- wt. gain, fatigue, dry skin&hair, constipation, bradycardia |
- 대사 ⇧
- wt. loss, exophathamos, 식욕증가, diarrhea, palpitation - 주원인 : Grave's dz. |
중 재
|
- med : Levothroxine sodium(synthroid, synthiroxine)
-> 다른 약물과 상호 작용 주의 -> enhance the action of oral anticoagulants (ex. wafarin) but decrease the action of insulin - 저칼로리/저콜레스테롤/저포화지방 식이 |
- 고칼로리(4-5천/일), 고단백, 고탄수 식이
- exophthalmos 간호 : head elevation, 저염식, 선글라스 사용, 금연 |
crisis
|
Myxedema coma (점액부종)
|
Tyroid storm
|
▫ sx : chest pain, BP, HR, Na⇩, 저혈당, resp failure, coma
▫ Tx : maintain airway med: Levothroxine sodium, Glucose IV, Corticosteroid |
▫ sx : fever, 빈맥, systolic HTN, N/V, diarrea
agitation, tremors, 불안, confusion, sezures, coma ▫ Tx : maintain airway med: Antithyroid, iodines, propranolol, glucocorticoid, antipyretic(타이레놀) |
5. Parathyroid Gland Disorder
★ PTH : 뼈에서 칼슘을 방출시켜 혈장 내 칼슘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콩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인산의 재흡수를 억제함.
|
1) Hypoparathyroidism
|
2) Hyperparathyroidism
|
사 정
|
▫ hypocalcemia
- numbness(얼굴, 사지) -> wheezing, dyspnea ▫ Tetany - Trousseau's sign : BP cuff Pr. 올리면 손목경련 - Chvostek's sign : 안면신경 두드리면 얼굴 경력 |
▫ hypercalcemia
- muscle weakness, pathological fractures - polyuria, N/V, osmotic pr.증가 - EKG : flat P, prolonged PR, shortened QRS, T-wave flat |
중 재
|
- 필요시 Vit.D 보충(장에서 칼슘 흡수 도움)
|
- 가벼운 운동격려(Ca bone으로 보내기 위해)
- furosemide (Ca 낮추기 위해), Calcitonin |
6. Disorders of the Pancreas
1) DM
▫ Type 1 : 췌장 B-cell 파괴로 인슐린 자체가 생성X
▫ Type 2 : 인슐린 저항성 or 결핍 -> 비만이 주요 원인
▫ 사 정
- 다뇨, 다갈, 다식
▫ 중 재
- 식후 혈당이 최고일 때 운동, 인슐린을 맞거나 당뇨약을 투약하겨 효과가 peak일 때는 운동하지 않음 / glucose level 250이상이고 urinary ketones이 나타날 경우 운동 중단
※ Somogi phenomenon 소모기 현상
- 인슐린의 용량이 많아서 혈당이 떨어졌다가 아침에 rebound 되는 현상
- Tx : 인슐린의 용량을 낮추거나 자기 전 간식 섭취
※ dawn pheomenon 새벽 현상
- 인슐린의 용량이 부족하여 아침에 고혈당을 보이는 현상
- Tx : 인슐린의 용량을 늘림
=> 두 가지 구분하기 위해 새벽 2-4시 사이에 혈당 f/u
7. Acute Cx. of DM
1) Hypoglycemia : 70mg/dL 이하
- 의식 있는 경우 당류 제공
- 의식 없는 경우 Glucagon or D20W, D50W IV
|
2) DKA (Diabetic Ketoacidosis)
|
3) HHS (Hyperosmolar hyperglycemic syndrome)
|
개 요
|
불충분한 인슐린
|
탈수
|
증 상
|
Kussmaul's resp, fruity breath, N, abd pain
탈수, 전해질 소실, 다뇨, 다갈 |
altered CNS func. with neurologic Sx
탈수 , 전해질 소실, 다뇨, 다갈 |
혈 당
|
300mg/dL 이상
|
800mg/dL 이상
|
케 톤
|
Posi
|
Nega
|
serum PH
|
acidosis
|
정상
|
중 재
|
- 순서 중요 : ①hydration ②RI 치료 ③K교정
- 환자의 혈당이 300 이상일 때 빠르게 혈당을 내려줄 수 있도록 RI 사용하고, 이후 혈당이 급격히 떨어져 250~300 정도가 되면 dextrose가 포함된 용액을 add하여 중재, 200아래는 RI stop |
- 산증 교정 외에 DKA와 방법 동일
(인슐린 보다 hydration이 혈당 감소에 큰 역할) |
8. Chronic Cx. of DM
▫ 당뇨 환자 발 간호
- 따뜻한 물로 씻고, 완전히 말리기
- 슬리퍼나 샌들 X
- 면양말
- 발톱은 일자로 자르기
- 로션 바르되 발가락 사이는 바르지 말기

- 유월드 오답 정리 -
1. DI -> 다뇨, 다갈 / med : Vasopressin, Desmopressin (ADH와 같은 역할)
2. hypothyrodisim -> Myxedema coma
-> ▫ sx : chest pain, BP, HR, Na⇩, 저혈당, resp failure, coma
▫ Tx : maintain airway
med: Levothroxine sodium, Glucose IV, Corticosteroid
3. 인슐린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NPH Insulin -> 자기 전 간식 섭취
- Glargine (Lantus) : long-acting
- Lispro (Humalog) : rapid-acting
※ Glargine
- long duration insulin
- Onset 70min
- Peak none => basal로 깔아줌
- Duration 18-24hr
- 다른 인슐린과 혼합 금지
4. DKA -> ketosis, metabolic acidosis, dehydration, hyperglycemia-> leads to osmotic diuresis, dehydration, 전해질 불균형
5. Grave's dz -> 갑상선항진증의 주 원인 -> Exophthlmos care
- 인공눈물 사용, 금연, 선글라스 사용
6. type 1 DM, glucose level 350, peaked T waves(=hyperkalemia), minimal U/O -> DKA
=> ①hydration ②RI 치료 ③K교정
- 환자의 혈당이 300 이상일 때 빠르게 혈당을 내려줄 수 있도록 RI 사용하고, 이후 혈당이 급격히 떨어져 250~300 정도가 되면 dextrose가 포함된 용액을 add하여 중재, 200아래는 RI stop
7. normal Cr 0.6-1.3 / Cr provides estimation of the glomeruloar filtration rate & is an indicator of kidney fuction
So, DM -> diabetic neohropathy
8. Addison's sx :
- Hypotension & tachycaedia
- dehydration
- hypoglycemia hyperkalemia, hyponatremia
- Hyperpigmented skin
- Wt.loss
- muscle weakness, confusion
9. SIADH Tx :
- Fluid restriction < 1000ml/day
- Oral salt tablets -> increase serum sodium
- Hypertonic saline(3%)
- vasopressin antagonist
10. Hyperparathyroidism -> parathrectomy -> Hypocalcemia -> Tetany signs
'STUDY WITH ME > NCLEX - 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클렉스 소화기계 Adult : Gastrointestinal system & Medication (0) | 2022.12.13 |
---|---|
엔클렉스 눈코귀 Adult : Eye / Ear (0) | 2022.12.13 |
엔클렉스 비뇨기계 Adult : Urinary / Renal (0) | 2022.12.13 |
댓글